맨위로가기

모데카이 브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데카이 브라운은 오른손 검지 손가락 부상으로 독특한 투구 그립을 갖게 된 메이저 리그 야구 투수이다. 1903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데뷔하여 시카고 컵스에서 전성기를 보냈으며, 239승 130패, 평균자책점 2.06을 기록했다. 200승 이상 투수 중 역대 최고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며, 1906년에는 1.0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브라운은 1909년 다승왕, 1906년 최우수 방어율, 1908년부터 1911년까지 4년 연속 최다 세이브 투수였으며, 1949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 선수 - 에디 플랭크
    에디 플랭크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7시즌 동안 326승을 기록한 좌완 투수로,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활약하며 크리스티 매슈슨과의 명승부, 뛰어난 커브볼 구사로 명성을 얻어 1946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브루클린 팁톱스 선수 - 대니 머피 (1876년)
    대니 머피는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주로 활동한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16시즌 동안 0.289의 타율과 702타점, 193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 브루클린 팁톱스 선수 - 바이런 하우크
    바이런 하우크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활동한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버스터 키튼 영화의 카메라 오퍼레이터로, 1910년대 초 퍼시픽 코스트 리그에서 야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1920년대에는 키튼의 여러 무성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 미국의 장애인 스포츠 선수 - 시몬 바일스
    시몬 바일스는 1997년생 미국의 여자 기계체조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 종합 우승 4회, 올림픽 금메달 7개를 획득했으며, ADHD를 앓고 2022년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받았다.
  • 미국의 장애인 스포츠 선수 - 짐 애벗
    짐 애벗은 오른손 없이 태어났음에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0년간 투수로 활약하며 1988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 강연 활동을 했다.
모데카이 브라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4년 브라운
1904년 브라운
본명모데카이 피터 센테니얼 브라운
출생일1876년 10월 19일
출생지나이즈빌, 인디애나주, 미국
사망일1948년 2월 14일 (향년 71세)
사망지테레호테, 인디애나주, 미국
포지션투수 / 감독
투구/타석우투/양타
데뷔 리그MLB
데뷔일1903년 4월 19일
데뷔팀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마지막 리그MLB
마지막 경기일1916년 9월 4일
마지막 팀시카고 컵스
선수 경력
선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03)
시카고 컵스 (1904–1912)
신시내티 레즈 (1913)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 (1914)
브루클린 팁-톱스 (1914)
시카고 웨일스 (1915)
시카고 컵스 (1916)
감독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 (1914)
주요 성적
우승 경력2× 월드 시리즈 우승 (1907, 1908)
수상NL 다승 (1909)
MLB 평균 자책점 (1906)
명예의 전당시카고 컵스 명예의 전당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1949년, 베테랑 위원회)
통계 (MLB)
승패 기록239승 130패
평균 자책점2.06
탈삼진1,375

2. 어린 시절

모데카이 브라운은 인디애나주 나이즈빌에서 태어나 농장에서 자랐다.[2] 어린 시절, 브라운은 농장의 사료 절단기에 손이 끼는 사고를 당해 오른손 검지 대부분이 절단되고 다른 손가락도 손상되는 큰 부상을 입었다.[2] 의사가 최대한 손을 고쳤지만, 손이 치료 중일 때 넘어져 여러 손가락 뼈가 부러지는 추가적인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그의 가운데 손가락은 제대로 맞춰지지 않았다. 7세 때 삼촌의 농장에 있던 옥수수 분쇄기에 손가락이 끼여, 검지와 새끼손가락 끝을 절단하는 중상을 입었으며, 게다가 손가락 골절까지 겹쳐 중지가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굽은 상태로 공을 던지게 되었다.

이러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브라운은 헛간 벽과 나무 표면의 매듭 구멍에 돌을 던지는 꾸준한 연습을 통해 뛰어난 제구력을 갖게 되었다.[2] 특히, 손상된 손으로 공을 잡는 독특한 방식은 공에 많은 회전을 주어 타자들이 치기 어려운 커브볼(또는 너클 커브)을 던질 수 있게 했다.

3. 선수 경력

모데카이 브라운은 1898년 세미프로 야구에서 3루수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의 팀 투수가 경기에 나오지 못하자 브라운이 대신 등판했고, 특이한 그립으로 만들어지는 공의 회전과 움직임은 리그 선수들의 주목을 받았다.[4] 브라운의 외증손자 프레드 머시는 "그것은 커브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휘어져 떨어졌다"며 "치기가 매우 어렵게 만들었고, 만약 그것을 쳤다면, 땅볼이 되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공 밑으로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4]

브라운은 7세 때 삼촌의 농장에 있던 옥수수 분쇄기에 손가락이 끼여, 검지와 새끼손가락 끝을 절단하는 중상을 입었으며, 게다가 손가락 골절까지 겹쳐 중지가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굽은 상태로 공을 던졌다. 이러한 손 상태 때문에, 브라운은 스트레이트 외에 체인지업과 크게 떨어지는 변화구를 던졌는데, 많은 서적에서는 그 구종을 "커브"라고 하지만, 타이 콥은 자서전에서 브라운이 포크를 던졌다고 증언하고 있다. 투수로서의 구종은 빅 커브(큰 커브), 커브, 슬로볼(현재의 체인지업)이며 투구 폼은 오버핸드, 사이드암, 언더핸드였다.

1901년 Three-I 리그의 테레호트에서 시작하여 뛰어난 마이너 리그 경력을 쌓은 후, 1903년 26세의 늦은 나이에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1916년까지 활약했다. 시카고 컵스로 이적한 후 1904년부터 안정적인 투구를 이어갔으며, 1910년까지 7년 중 6시즌은 평균자책점 1점대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컵스는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리그 3연패를 달성했으며, 1907년과 1908년의 월드 시리즈에서는 타이 콥 등을 보유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2년 연속으로 꺾고 월드 시리즈 2연패를 달성했다.

브라운의 가장 생산적인 시기는 1904년부터 1912년까지 시카고 컵스에서 활약할 때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6번이나 20승 이상을 거두었고, 두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의 주역이었다. 뉴욕 자이언츠의 감독 존 맥그로는 크리스티 매튜슨과 브라운을 내셔널 리그 최고의 투수 두 명으로 꼽았다. 브라운은 매튜슨과의 통산 전적에서 13승 11패로 앞섰으며, 25번의 선발 맞대결에서 한 번의 노 디시전을 기록했다.[5] 특히 1908년 시즌 마지막 정규 경기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5] 1911년에는 메이저 리그 사상 최초로 연간 두 자릿수 세이브(13)를 올렸다.

1909년 말, 브라운은 쿠바에서 몇 경기를 치른 팀에 속해 있었으나, 미스터리한 질병에 걸려 집으로 돌아왔다.[7] 1912년에 제한적인 출전을 했고, 36세가 되기 일주일 전인 10월에 컵스에서 방출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경미한 질병으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았고, 브라운의 무릎을 검사한 의사는 그에게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될 위험이 있으니 야구에서 은퇴하라고 권고했다.[8]

그러나 브라운은 계속해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고, 1913년 시즌을 위해 루이빌 커널스와 계약을 맺었으며, 이후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되었다. 1913년 시즌 후, 브라운은 페더럴 리그로 이적하여, 1914년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의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9] 8월에 감독에서 해고된 후, 브루클린 팁-톱스에서 시즌을 마쳤으며, 1914년 10월에 다시 은퇴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10] 그는 리그에 남아 1915년 시카고 웨일스에서 뛰었고, 1916년 마지막 시즌에는 컵스로 복귀했다.[4]

브라운과 매튜슨은 노동절 더블헤더의 두 번째 경기인 1916년 9월 4일에 마지막 대결을 펼쳤다.

|thumb|모데카이 브라운과 크리스티 매튜슨의 1916년 9월 4일 경기 홍보 포스터]] 이 경기는 두 베테랑 야구 선수 간의 마지막 만남으로 홍보되었으며, 결국 두 사람의 선수 경력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경기는 33개의 안타가 나오며 점수가 많이 나는 경기가 되었지만, 두 팀 모두 페넌트 경쟁에서 멀어져 있었고, 두 선수 모두 경기를 완투했다. 매튜슨의 레즈는 브라운의 컵스를 10-8로 이겼다.

브라운은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을 239승 130패, 1375 탈삼진, 2.06 평균자책점으로 마감했는데,[11] 이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 중 에드 워시와 애디 조스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로 높은 평균자책점이다. 그의 2.06 평균자책점은 200승 이상을 거둔 투수 중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브라운은 스위치 히터였으며, 통산 .206 타율, 93 득점, 2 홈런, 73 타점을 기록했다. 은퇴 후 고향 인디애나로 돌아가 1945년까지 주유소를 운영하거나, 지역 마이너 리그의 감독과 코치를 하였다.

3. 1. 메이저 리그 이전

3. 2. 메이저 리그 경력

모데카이 브라운은 1903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11] 1904년부터 시카고 컵스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4] 1906년에는 1.04라는 경이적인 MLB 최우수 방어율을 기록했다.[19] 1910년까지 7년 중 6시즌 동안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투수로 활약했다.[4] 특히 뉴욕 자이언츠의 크리스티 매튜슨과의 라이벌 관계로 유명했는데, 두 선수는 당대 최고의 투수로 꼽혔으며, 1908년 페넌트레이스 최종전에서 브라운이 매튜슨을 상대로 승리하며 컵스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5][6]

브라운은 1907년과 1908년, 컵스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꺾고 월드 시리즈 2연패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 1911년에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로 한 시즌 두 자릿수 세이브(13)를 기록하기도 했다.[24] 1909년에는 MLB 최다승을 기록 했다.[22]

1914년, 신생 리그인 페더럴 리그로 이적하여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했다.[9] 1916년, 컵스로 복귀하여[4] 크리스티 매튜슨과의 마지막 맞대결을 끝으로 은퇴했다.[4]

브라운은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을 239승 130패, 1375 탈삼진, 2.06 평균자책점으로 마감했는데,[11] 이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 중 에드 워시와 애디 조스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로 높은 평균자책점이다. 그의 2.06 평균자책점은 200승 이상을 거둔 투수 중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브라운은 투수에게는 드물게 스위치 히터였다. 그는 타격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투수로서 꽤 괜찮은 타율을 기록했으며, 통산 .206 타율, 93 득점, 2 홈런, 73 타점을 기록했다.

STL2624191[16]19130--.409854201.0231759--68360105582.601.44
CHC2623214[17]215101--.600833212.1155150--6815074441.860.97
3024244[18]518120--.600975249.0219344--1892189602.171.06
3632279[19]32663--.8131044277.1198161--41442156321.040.93
3427206[20]22063--.769861233.0180240--61074051361.390.94
4431279[21]72995--.7631153312.1214149--51236064511.470.84
5034328[22]62797--.7501280342.2246153--71729078501.310.87
4631276[23]525147--.6411170295.1256364--41436095611.861.08
5327210[24]6211113--.6561082270.0267555--612950110842.801.19
15852[25]1560--.45536688.292220--1340035262.641.26
CIN3916111[26]111126--.478702173.1174744--1411179562.911.26
SLM2618132[27]11260--.667722175.0172743--3815173643.291.23
BTT98500250--.28624657.263118--0322033274.211.41
'14계|3526182114110--.560968232.2235861--311371106913.521.27
CHI3525173[28]31784--.680931236.1189264--7956075552.091.07
CHC12420[29]1230--.40020348.15209--4212027213.911.26
MLB:14년481332271554423913049--.648124223172.1270843673--61137561410447252.061.07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 「-」는 기록 없음


년도리그경기승리패배승률순위비고
1914년STTFL1145063.4428위개막~8월 21일
통산 성적1145063.442


3. 3. 은퇴 이후

은퇴 후 브라운은 고향인 인디애나주 테레호트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며 지역 사회와 교류했다.[12][13] 1920년부터 1945년까지 운영된 이 주유소는 마을의 만남의 장소이자 비공식 박물관 역할도 했다. 마이너 리그 팀의 감독과 코치를 맡기도 했으며, 시범 경기에 종종 등판하여 여전한 기량을 선보였다. 1928년 51세의 나이에는 데이비드 하우스 투어팀과의 시범 경기에서 지역 팀을 위해 3이닝 동안 상대 타자 9명 모두를 삼진으로 처리하기도 했다.[12][13]

만년에는 당뇨병과 1947년 뇌졸중 후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었으며, 1948년 당뇨 합병증으로 사망했다.[12][13] 1949년 5월, 키드 니콜스와 함께 사후에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4]

F. 스콧 피츠제럴드는 그의 첫 소설 ''낙원의 이쪽''(1920)에서 "세 손가락 브라운"을 언급했다.[15] 텔레비전 시리즈 ''심슨 가족''의 에피소드 "호머, 배트의 영웅"과 "최후의 견인 영웅"에서도 브라운이 언급되었다. 1999년에는 메이저 리그 야구 올-세기 팀 최종 후보로 선정되기도 했다.

안토니오 알폰세카와 더불어 컵스는 역대 로스터에 "세 손가락" 투수와 여섯 손가락 투수를 모두 포함시킨 팀이 되었다.

4. 투구 스타일

브라운은 어린 시절 사고로 오른손에 부상을 입어 독특한 투구 그립을 사용했다. 검지와 새끼손가락 끝이 절단되고 중지가 굽은 상태로 공을 던졌는데, 이 때문에 공에 많은 회전을 줄 수 있었다.

이러한 그립을 통해 던진 브라운의 커브(또는 너클 커브)는 타자들이 치기 어려웠으며, 일반적인 커브와 달리 휘어져 떨어지는 궤적을 그렸다. 타이 콥은 자서전에서 브라운이 포크볼을 던졌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브라운은 커브 외에도 스트레이트와 슬로볼(현재의 체인지업)을 효과적으로 구사했으며,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땅볼 유도 능력 또한 뛰어났다.

5. 유산 및 평가

모데카이 브라운은 불리한 신체 조건을 극복하고 메이저 리그를 대표하는 투수로 성공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산 평균자책점 2.06은 200승 이상을 거둔 투수 중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로 낮은 기록이다.[12][13] 1999년에는 메이저 리그 올-센추리 팀 후보에 선정되기도 했다.[15]

은퇴 후에도 브라운은 야구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그는 고향 테레 호트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며 지역 사회와 교류했고, 마이너 리그와 시범 경기에서 투구 및 코칭 활동을 계속했다. 1949년에는 키드 니콜스와 함께 사후에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4]

그의 이야기는 스포츠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영감의 원천으로 활용되며, 특히 불가능을 극복하는 인간 승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낙원의 이쪽''(1920)과 텔레비전 시리즈 ''심슨 가족'' 등 대중 매체에서 브라운의 이름과 "세 손가락"이라는 별명이 언급되기도 한다. 안토니오 알폰세카와 더불어, 컵스는 역대 로스터에 "세 손가락" 투수와 여섯 손가락 투수를 모두 포함시킨 팀이 되었다.

6. 통산 기록

wikitext

모데카이 브라운의 메이저 리그 통산 투수 기록은 14시즌 동안 481경기에 등판하여 332경기 선발, 271경기 완투, 55완봉, 239승 130패, 49세이브, 평균자책점 2.06, 탈삼진 1375개를 기록했다.[16][17][18][19][20][21][22][23][24][25][26][27][28][29] 1903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데뷔하여, 1904년부터 시카고 컵스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다. 1906년에는 26승 6패, 평균자책점 1.04를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다승, 평균자책점, 완봉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19] 1909년에는 27승 9패, 평균자책점 1.31, 172탈삼진을 기록하며, 다승, 평균자책점, 최다 탈삼진을 기록하였다.[22]

메이저 리그 투수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선발완투완봉세이브승률투구 이닝피안타자책점탈삼진평균자책점WHIP
1903STL261919130.409201.023158832.601.44
1904CHC2621215101.600212.115544811.860.97
19053024518120.600249.021960892.171.06
1906362792663.813277.1198321441.040.93
1907342062063.769233.0180361071.390.94
1908442792995.763312.1214511231.470.84
1909503282797.750342.2246501721.310.87
19104627625147.641295.1256611431.861.08
191153210211113.656270.0267841292.801.19
19121552560.45588.29226342.641.26
1913CIN3911111126.478173.117456412.911.26
1914SLM261321260.667175.017264813.291.23
BTT950250.28657.26327324.211.41
1914 합계3518214110.560232.2235911133.521.27
1915CHI351731784.680236.118955952.091.07
1916CHC1220230.40048.15221213.911.26
MLB 통산:14년4812715523913049.6483172.1270872513752.061.07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6. 1. 투수 기록

모데카이 브라운의 메이저 리그 통산 투수 기록은 14시즌 동안 481경기에 등판하여 332경기 선발, 271경기 완투, 55완봉, 239승 130패, 49세이브, 평균자책점 2.06, 탈삼진 1375개를 기록했다.[16][17][18][19][20][21][22][23][24][25][26][27][28][29] 1903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데뷔하여, 1904년부터 시카고 컵스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다. 1906년에는 26승 6패, 평균자책점 1.04를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다승, 평균자책점, 완봉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19] 1909년에는 27승 9패, 평균자책점 1.31, 172탈삼진을 기록하며, 다승, 평균자책점, 최다 탈삼진을 기록하였다.[2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선발완투완봉세이브승률타자투구 이닝피안타실점자책점탈삼진평균자책점WHIP
1903STL261919130.409854201.023158832.601.44
1904CHC2621215101.600833212.115544811.860.97
19053024518120.600975249.021960892.171.06
1906362792663.8131044277.1198321441.040.93
1907342062063.769861233.0180361071.390.94
1908442792995.7631153312.1214511231.470.84
1909503282797.7501280342.2246501721.310.87
19104627625147.6411170295.1256611431.861.08
191153210211113.6561082270.0267841292.801.19
19121552560.45536688.29226342.641.26
1913CIN3911111126.478702173.117456412.911.26
1914SLM261321260.667722175.017264813.291.23
BTT950250.28624657.26327324.211.41
1914 합계3518214110.560968232.2235911133.521.27
1915CHI351731784.680931236.118955952.091.07
1916CHC1220230.40020348.15221213.911.26
MLB 통산:14년4812715523913049.648124223172.1270872513752.061.07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 「-」는 기록 없음

6. 2. 타격 기록

통산 493경기에 출전하여 1143타수 235안타, 홈런 2개, 타점 74, 삼진 75개, 타율 .206을 기록하였다.

7. 수상 및 경력

모데카이 브라운은 1909년 MLB 최다승을 기록했고, 1906년에는 MLB 최우수 방어율을 기록했다. 1908년부터 1911년까지는 MLB 최다 세이브 투수를 4회 연속으로 차지했다. 월드 시리즈에는 1906년부터 1908년, 그리고 1910년까지 총 4회 출장했다. 통산 방어율은 '''2.06'''으로, 이는 역대 3위 기록(통산 투구 이닝 2000이닝 이상 대상)이다. 1906년 시즌 방어율 '''1.04'''는 1901년 이후 역대 2위 기록에 해당한다. 1999년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센추리 팀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rown, Mordecai http://baseballhall.[...] Baseball Hall of Fame 2010-11-04
[2] 웹사이트 Mordecai Brown https://sabr.org/bio[...] 2023-10-20
[3] 뉴스 Baseball Salaries Reach Top Mark https://timesmachine[...] 1914-01-18
[4] 뉴스 Mordecai Brown a Special Memory in Indiana Farmland https://www.chicagot[...] 2008-06-29
[5] 웹사이트 Christy Mathewson https://baseballbiog[...] baseballbiography.com 1916-09-04
[6] 웹사이트 Chicago Cubs Win 2016 World Series https://www.mlb.com/[...]
[7] 뉴스 Mordecai Brown Sick From Mysterious Cause https://news.google.[...] 1910-01-03
[8] 뉴스 Mordecai Brown May Never Pitch Again https://news.google.[...] 1912-11-12
[9] 뉴스 Tinker and Brown Sign Contracts; Their Three Years' Salary Is Guaranteed by a Bonding Company https://www.nytimes.[...] 1913-12-30
[10] 뉴스 Mordecai Brown is Thirty-Eight Years Old Today – About to Quit the Diamond https://news.google.[...] 1914-10-19
[11] 웹사이트 Mordecai Brown http://baseballhall.[...] Baseball Hall of Fame 2023-12-24
[12] 뉴스 Mordecai Brown Dies; Among Baseball Greats https://www.newspape[...] 1948-02-15
[13] 뉴스 Mordecai Brown, Great Hurler, Dies https://news.google.[...] 1948-02-15
[14] 뉴스 Mordecai Brown Joins Baseball Hall of Fame https://www.newspape[...] 1949-05-09
[15] 서적 This Side of Paradi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6]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17]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18]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19]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0]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1]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2]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3]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4]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5]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6]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7]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8]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29]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